그린미디어

Green Media

  • 사물, 그 본질적 가치

    사물, 그 본질적 가치

    조회수 : 15676

    영국 yBa의 대표작가 개빈 터크(Gavin Turk)의 국내 최초의 전시가 열린다. 이번 전시는 한국에서 열리는 그의 첫 번째 전시로 조각, 페인팅, 실크스크린, 비디오 등 20여 점의 대표작을 12월 12일까지 박여숙화랑에서 선보인다.

  • 사실과 허구의 기묘한 동거

    사실과 허구의 기묘한 동거

    조회수 : 16779

    누가 말했던가. 진실과 거짓은 종이 한 장 차이라고. 자석의 양 극처럼 멀리 떨어진 것 같아 보이는 이 둘은 사실은 무척이나 가까운 사이이다. 심지어 서로 이어져 있기도 하다. 빛만으로 가득 찬 세계에서는 빛의 존재를 알 수 없고, 어둠만으로 가득 찬 세계에서는 어둠을 지각할 수 없는 것처럼 사실과 허구를 따로 생각한다면 현실의 윤곽을 파악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개념을 예술에 도입한 것이 바로 팩션(faction)이다.

  • 뷰파인더를 통한 부정(父情), 그 26년간의 기록

    뷰파인더를 통한 부정(父情), 그 26년간의 기록

    조회수 : 15617

    세상에 내 자식이 예쁘지 않을 아버지가 어디 있을까마는 故 전몽각 선생의 부정(父情)은 누구보다도 특별하다. 큰 딸 윤미의 탄생부터 결혼할 때까지의 모습을 26년간 카메라로 담았기 때문이다. 뷰파인더를 통한 아버지의 시선은 보는 이에게도 딸을 향한 사랑을 느낄 수 있게 하는 따뜻하지만 강력한 매력을 갖고 있다.

  • 다문화 사회의 예술 방정식

    다문화 사회의 예술 방정식

    조회수 : 15789

    고슴도치 같은 생김새, 치즈와 양파가 섞인 듯한 불쾌한 냄새. 동남아시아, 특히 베트남이 사랑하는 과일 ‘두리안’에 대한 설명이다. 이 과일은 그 괴상한 모양과 냄새 때문에 이방인들에게는 특히나 낯설고 두렵다. 하지만 바닐라 커스터드 같은 그 맛은 한 번 익숙해지면 푹 빠져버리게 만드는 매력이 있다. 두리안은 이질적인 겉모습, 하지만 먹어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베트남의 매력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과일이기도 하다.

  • 조선으로 떠나는 나들이

    조선으로 떠나는 나들이

    조회수 : 15232

    올 가을, 온 나라를 들썩거리게 만들었던 G20 정상회의 이후 세계는 한국의 아름다운 전통 문화에 새롭게 주목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조선시대의 일상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가 기획되어 있어 흥미를 끌고 있다.

  • z축, 도시의 모습

    z축, 도시의 모습

    조회수 : 15963

    빽빽한 도시의 건물들, 정신없이 번쩍대는 간판들, 이는 모두 우리의 욕망과 연관되어 있다. 도시의 실종과 욕망의 착종을 풀어내는 살풀이를 하고자 작가들은 참을 수 없는 도시를 사진으로 샅샅이 기록한다.

  • 예술과 명품의 조우

    예술과 명품의 조우

    조회수 : 17142

    장인정신은 명품을 명품답게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초호화 고가의 물건이 판을 치지만 명품의 대열에 끼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 당신에게 책은 무엇입니까

    당신에게 책은 무엇입니까

    조회수 : 15082

    인터넷이 발달하고 웹이 보편화된 현대사회에서 책은 어떤 의미를 지닐까. 혹자는 종이로 만들어진 책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도태될 것이라고 했지만, 여전히 책은 우리에게 많은 것들을 주고 있다. 정보를 전달하는 것 이상의 그 어떤 힘.

  • Form, Fantasy and the Nude

    Form, Fantasy and the Nude

    조회수 : 15016

    뉴욕 팝아트 작가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작가로 평가받는 톰 웨슬만의 전시가 우리나라에서 열린다. (재)송은문화재단의 새로운 복합문화공간 송은 아트스페이스(Songeun Art Space)의 문을 여는 개관 전시인 ‘톰 웨슬만 : Form, Fantasy and the Nude’는 11월 19일부터 12월 29일까지 40일 간 진행될 예정이다.

  • MEET : 예술가와 시민, 페스티벌로 만나다

    MEET : 예술가와 시민, 페스티벌로 만나다

    조회수 : 15489

    홍대 주변의 예술가들이 홍대 앞의 상업화를 견디지 못하고 그 곳을 떠나기 시작한 무렵은 대략 십 년 전쯤부터였을 것이다. 그들은 자신들만의 대안공간을 찾기 위해 홍대 주변의 연남동이나 망원동 쪽에 둥지를 틀기 시작했고 몇몇의 예술가들은 흡사 엑소더스라도 감행하듯 한강을 건넜다.

대표번호 : 02.722.2111

  • 주소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15-4 만이빌딩 5층, 10층
  • 대표자 : 김상곤
  • 사업자등록번호 214-86-26812
  • 통신판매업신고 강남13717호
  • 학원등록번호 : 강남 제 1101호
  • 홈페이지 관리자 : 홍길동
  • COPYRIGHT ⓒ GITACADEM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