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미디어

Green Media

  • 행복하십니까?

    행복하십니까?

    조회수 : 15548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의 거장 페데리코 펠리니(Federico Fellini, 1920-1993)의 영화 ‘8½(Otto e mezzo)(1963)’에서는 “My Dears... Happiness consists of being able to tell the truth without hurting anyone(친애하는 여러분… 행복은 누구에게도 상처 주지 않으면서 진실을 말할 수 있음에 있습니다).”라는 대사를 들을 수 있다.

  • 0과 1 사이에서 예술을 이야기하다

    0과 1 사이에서 예술을 이야기하다

    조회수 : 15874

    디지털 문명 속에서 예술이 나아갈 길은 21세기 이후 수많은 아티스트들에 의해 논의되었던 주제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이 일반 예술의 제 분야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엄청나다. 백남준 같은 작가들은 디지털을 도구화시켜 자신의 작품세계에 적극적으로 차용하기도 했지만 일단의 작가들에게 있어 디지털은 여전히 멀고도 가까운 그대이다.

  • 일상 속 환타지아

    일상 속 환타지아

    조회수 : 15769

    12월. 겨울임에도 불구하고 유난히 따뜻하게 느껴지는 그 달에는 모두 꿈을 꾼다. 현실의 복잡한 일들은 잊혀지고 그 옛날 머리맡에 몰래 선물을 놓아주시던 아버지의 손길과, 옛 연인과의 달콤한 크리스마스의 추억이 자연스럽게 머리 속에 떠오른다. 트렁크갤러리가 2010년의 마무리로 기획한 전시 <판타지 그 내면 들여다보기> 또한 이런 따뜻한 기억들에 관한 이야기이다.

  • 게임이야? 예술이야?

    게임이야? 예술이야?

    조회수 : 16672

    게임과 예술의 사이는 최근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게임은 예술을 사모하고 예술은 게임을 흠모한다. 게임에게는 한 차원 높은 감수성으로, 예술에게는 한 층 더 넓은 재미로 사람들을 사로잡고 싶은 욕망이 있기 때문이다. 인터랙티브 측면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때 비로서 그 가치가 있는 인터랙티브 시스템에서 게임과 미디어 아트는 사용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서로의 이점을 차용하는 ‘똑똑한’ 선택을 하고 있다.

  • 미술을 확장하는 공간, 공간, 공간

    미술을 확장하는 공간, 공간, 공간

    조회수 : 16101

    미술 작품에 ‘공간’이 미치는 영향은 얼마나 될까? 작품 속 세계를 제한하기도 하고 한없이 확장시키기도 하는 공간이라는 개념. 그것을 작품 속에 어떻게 위치 시키느냐 하는 것은 모든 작가들의 공통적인 고민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자신만의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기 위해 노력하는 작가들과 그들의 공간미학을 엿보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공간의 영역을 고민하는 작가들에게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 마음으로 듣는 소리

    마음으로 듣는 소리

    조회수 : 16776

    소리는 귀로 듣는다. 그러나 모든 소리를 귀로 듣는 것은 아니다. 모든 사람이 그러한 것도 아니다. 작가 최대식은 소리를 몸으로 듣고 손으로 듣는다. ‘자연의 소리’를 주제로 40여 년간 작업을 해온 배태랑 작가이다.

  • 우리 숨 쉬고 있나요?

    우리 숨 쉬고 있나요?

    조회수 : 16244

    오늘날의 미술관은 멀티 플레이어이다. 작품을 선별하여 전시하는 차원을 넘어 작가들이 좋은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 미술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작가와 전문가, 주민이 교류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주고 있다. 하지만 미술관이 아무리 바빠도 가능성 있는 작가들의 작품활동을 지원하는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건너뛸 순 없다. 국내 유일의 세라믹전문창작센터를 보유한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역시 예외는 아니다.

  • Alter Ego, 또 하나의 나

    Alter Ego, 또 하나의 나

    조회수 : 16903

    거울 속의 나. 매일 마주하는 나의 모습이 어느 순간 낯설게 느껴진 적이 있다. 내가 생각하는 나와 거울 속 나의 모습이 같지 않을 때, 나는 나 자신에게 둘도 없는 친구였다가도 낯선 사람을 만난 것 같은 어색함을 느낀다. 이런 감정에 주목해왔던 작가 김대현은 그의 첫 번째 개인전 <없었던 것처럼 살고 싶다>에서 그 특유의 드로잉으로 나와 나의 또 다른 자아와의 관계에 대해 조명한다.

  • 휴대폰, 당신 그리고 우리

    휴대폰, 당신 그리고 우리

    조회수 : 15691

    영어로 휴대전화를 뜻하는 모바일(Mobile)이라는 단어에는 ‘움직일 수 있는, 이동성’이란 뜻이 담겨 있다. 움직일 수 있는 이 조그만 기계가 우리 삶에 미친 영향은 새삼 강조할 필요도 없다. 이런 영향력의 원천은 무엇일까. 일단 커뮤니케이션에 영향을 주는 휴대폰의 미디어적 특성이 첫 번째를 차지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그 미디어적 특성을 통한 휴대폰의 사회적, 문화적 역할을 들 수 있지 않을까. 호주 출신의 라리사 효스의 연구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국 현대사진, 그 다양성 바라보기

    영국 현대사진, 그 다양성 바라보기

    조회수 : 15419

    개별적이며 역동적인 표현방식을 선보이는 오늘날의 영국 예술사진은 작가 개인의 지극히 주관적인 가치관과 미적 기준을 바탕으로 최종 결과물을 생산해내는 경향을 보인다. 다원화된 현대사회를 반영하는 영국의 현대 예술사진전이 11월 30일까지 AVENUEL 롯데갤러리에서 열린다.

대표번호 : 02.722.2111

  • 주소 :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15-4 만이빌딩 5층, 10층
  • 대표자 : 김상곤
  • 사업자등록번호 214-86-26812
  • 통신판매업신고 강남13717호
  • 학원등록번호 : 강남 제 1101호
  • 홈페이지 관리자 : 홍길동
  • COPYRIGHT ⓒ GITACADEMY. ALL RIGHTS RESERVED